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정의

태양의 황도(黃道)상의 위치로 정한 24절기 중 열세 번째 절기. 

양력으로는 8월 8일 무렵이고, 음력으로는 7월인데, 

태양의 황경(黃經)이 135도에 있을 때이다. 


대서(大暑)와 처서(處暑)의 사이에 들어 있으며, 

여름이 지나고 가을에 접어들었음을 알리는 절후이다. 

이날부터 입동(立冬) 전까지를 가을이라고 한다.



유래

『고려사(高麗史)』 권50 지(志)4 역(曆) 선명력(宣明曆) 상(上)에 

“입추는 7월의 절기이다. 괘(卦)는 리(離) 구사(九四)이다. 


초후(初候)에는 서늘한 바람이 불어온다. 차후(次候)에 흰 이슬이 내린다. 

말후(末候)에 쓰르라미[寒蟬]가 운다.”라고 하였다. 


이것은 입추가 지난 후의 계절의 변화를 잘 나타내는 말이다. 

『고려사』 권6 「세가(世家)」 6 정종(正宗) 병자(丙子) 2년(1036)에는 

“입하(立夏)부터 입추까지 백성들이 조정에 얼음을 진상하면 


이를 대궐에서 쓰고, 조정 대신들에게도 나눠주었다.”라는 기록이 있다. 

이것은 입추까지는 날씨가 무척 더웠음을 말해주는 것이다. 

『고려사』 권84「지(志)」38에 “입추에는 관리에게 하루 휴가를 준다.”라고 하였다.



내용

입추 무렵은 벼가 한창 익어가는 때여서 맑은 날씨가 계속되어야 한다. 

조선 시대에는 입추가 지나서 비가 닷새 이상 계속되면 조정이나 

각 고을에서는 비를 멎게 해달라는 기청제(祈晴祭)를 올렸다 한다.


입추는 곡식이 여무는 시기이므로 이날 날씨를 보고 점친다. 

입추에 하늘이 청명하면 만곡(萬穀)이 풍년이라고 여기고, 

이날 비가 조금만 내리면 길하고 많이 내리면 벼가 상한다고 여긴다. 

또한 천둥이 치면 벼의 수확량이 적고 지진이 있으면 

다음해 봄에 소와 염소가 죽는다고 점친다.



입추가 지난 뒤에는 어쩌다 늦더위가 있기도 하지만 밤에는 

서늘한 바람이 불기 시작한다. 따라서 이때부터 가을 준비를 시작해야 한다. 

특히 이때에 김장용 무와 배추를 심어 김장에 대비한다. 


이 무렵에는 김매기도 끝나가고 농촌도 한가해지기 시작한다. 

그래서 “어정 7월 건들 8월”이라는 말이 거의 전국적으로 전해진다. 

이 말은 5월이 모내기와 보리 수확으로 매우 바쁜 달임을 표현하는

 “발등에 오줌 싼다.”와 좋은 대조를 이루는 말이다.


출처 : http://folkency.nfm.go.kr/kr/topic/%EC%9E%85%EC%B6%94/4756

'T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지(夏至)란? 24절기 정보  (0) 2017.06.21
KT 환급금 조회  (0) 2017.06.13
곡학아세 뜻, 뜻풀이  (0) 2017.06.07
(Tip) 귀임 뜻, 뜻풀이  (0) 2017.04.03
(tip) 부관참시 뜻, 뜻풀이  (0) 2017.03.27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정월대보름의 개요와 유래


1.개요

음력 1월 15일.

설날 이후 처음 맞는 보름날로 상원,혹은 오기일(烏忌日)이라고도 한다. 어찌보면 설날보다 더 성대하게 지냈던 명절로 보통 그 전날인 14일부터 행하는 여러가지 풍습들이 있다. 원래는 설날부터 대보름까지 15일간이 축제일이었으며 이 기간 중에는 빚독촉도 하지 않는다는 말이 있었을 정도로 옛 풍습에서는 큰 축제 기간이었다. 좀 더 옛날에는 정월 대보름 다음날이 실질적인 한 해의 시작으로 여기지 않았을까 하는 설도 있다. 새 학년의 시작은 3월 1일 이지만 3.1절이 있어 3월 2일 부터 본격적인 새학기가 시작 되는것과 비슷하다고 보면 된다.

전통적으로 정월 대보름에는 한해 계획을 세우는게 일반적이었는데 이 한해 계획을 세우는 과정에서 한해의 운수를 점치는 풍습들을 행해 왔다. 또한 다양한 놀이와 행사, 음식들을 차려먹었는데 정월 대보름에 행해온 풍습들은 오늘날에도 일부 계승되어 행해지고 있다. 또한 지역별, 마을별로 제사를 지내고 단체로 모여서 행하는 고싸움, 석전 등을 행하기도 했는데 일부 지역의 고싸움은 오늘날까지 보존되고 있다.

현대에 와서는 법정 공휴일로 지정된 명절은 아니지만 설날 이후의 중요한 명절로 간주되고 있다.중국에도 같은 날에 원소절이라는 명절이 존재한다.


2. 유래

정월 대보름과 관련된 전설 중에 '사금갑'(射琴匣)이 있다. 원전은 삼국유사 기이 제 1편 소지왕 이야기이다.


신라 시대, 임금 소지왕이 정월 대보름에 천천정으로 행차하기 위해 궁을 나섰는데, 갑자기 까마귀와 쥐가 시끄럽게 울었다. 그리고는 쥐가 사람의 말로 왕에게 이렇게 말했다.


"이 까마귀가 가는 곳을 따라가 보옵소서."


그러자 임금은 신하를 시켜 까마귀를 따라가게 했다. 신하가 까마귀를 어느 정도 따라가다가 어느 연못에 다다랐을 때 두 마리의 돼지가 싸움을 하고 있었다. 신하는 돼지 싸움을 보다가 그만 까마귀를 놓쳐 버렸다. 조금 있으니까 연못에서 노인이 나와서 신하에게 편지봉투를 주고는 "그 봉투 안의 글을 읽으면 두 사람이 죽을 것이요, 읽지 않으면 한 사람이 죽을 것입니다."라고 말하고는 사라졌다.

신하가 궁에 돌아와 임금에게 편지봉투를 주면서 연못 노인의 말을 전했다. 임금은 두 사람이 죽는 것보단 한 사람이 죽는 게 낫다고 생각해서 편지를 읽지 않으려 했는데 옆에 있던 일관이 말하기를


"전하, 두 사람이라 함은 보통 사람을 말하고, 한 사람이라 함은 전하를 말하는 것이니, 편지의 글을 읽으시옵소서."


일관의 말이 일리가 있다고 생각한 임금은 편지의 글을 읽어 보았다. 그 편지에는 이렇게 적혀 있었다.


'射琴匣(사금갑; 거문고 갑을 쏘시오)'


임금은 곧 거문고 갑을 활로 쏘았다. 그리고 거문고 갑을 열어보니 두 사람이 활에 맞아 죽어 있었다. 이 두 사람은 왕비와 어떤 중이었는데, 중이 왕비와 한통속이 되어[1] 임금을 해치려 했던 것이었다.

그로부터 정월 대보름을 오기일(烏忌日)이라 하여 찰밥을 준비해 까마귀에게 제사를 지내는 풍습이 생겼다고 한다.


출처 : https://namu.wiki/w/%EC%A0%95%EC%9B%94%20%EB%8C%80%EB%B3%B4%EB%A6%84?from=%EC%A0%95%EC%9B%94%EB%8C%80%EB%B3%B4%EB%A6%84

+ Recent posts